비슬산유가사
동영상 오른쪽 맨 끝.. 네모 모양 아이콘 눌러서 화면 크게 해서 보세요^^
화면을 확대해서 보세요^^
비슬산(琵瑟山)웅장한 산속에 자리하고 있는 유가사는 통일신라 흥덕왕2년(827년)도성국사에 의해 창건..
절 이름은 비슬산의 바위 모습이 아름다운 구슬과 부처의 형상과 같다 하여 옥유(瑜)절 가(伽)를 따서 지었다고 한다.
국사당(局司堂) 사찰 경내를 수호하는 외호산장을 모신곳
용화전(龍華殿)부처님 다음의 미래불인 미륵보살을 모셔 놓은 곳으로 시도유형문화재 제50호로 지정된 석조여래좌상
유가사 우측옆 비슬산 대견봉 정상 가는 길 입구...(약3.5km.소요시간2시간)
산령각(山靈閣): (사진 오른쪽 산쪽) 절터와 산악을 수호 하는 산신(山神)과 호랑이를 그린 탱화를 봉안..
대웅전 우측에 있는 춘원 이광수님의 詩`애인`
삼층석탑은 높이364cm,아래쪽에 있었던 원각사터에서 1920년에 옮겨온 고려시대 양식을 띤 작품
범종루(梵鐘樓) 사찰에서 하루의 일과 시간을 알리는 기본적인 네 가지의 악기,법고 운판 목어 범종을 보관하는곳..
비슬산 대견봉 정상 자락과 멋진 조화를 이루고 있는 대웅전은 여러차례 중수를 거쳐 오늘에 이르고 있다
대웅전 중앙 불단에는 석가모니불이 좌우에 목조로 된 문수,보현보살상이 모셔져 있으며,외벽에는 산수도가 그려져 있다
2000불상이 모셔져 있는 유가사 시방루 전경
왼쪽부처님 부터..석가모니불,비로자나불,노사나불
나한전(羅漢殿)내부에는 석가모니불과 제화갈라보살,미륵보살 3세불(三世佛)과 각각 다른표정의16 나한상을 모셨다
부도(浮屠)
天王門불법을 수호하기위해 동서남북 네방위를 지키는 사천왕을 모신 문.흩어진 마음을 하나로 모아 자신의 마음을 점검하라는뜻이 담겨있다
유가사 108돌탑..
수도암은 유가사 북서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신라 혜공왕때 도성국사(道成國師)가 창건..
암자주변에는 낙암선사의 비문이 있으며 극락전 잔디 앞에는 옛 전설을 간직한 거북바위가 자리잡고 있다
시간이 없어 못가본 산중턱에 있는 도성암은 다음기회에 포스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