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나들이
달성보 강정보 야경
2012.11.04 달성보에서...-항해를 시작하는 크루즈를 형상화-(준공일: 2011.11,26.총연장 628.1m 교폭7.7m)
달성 물레길 마라톤대회 화원 새마을 지도자지부 자원봉사차 참석
화원 이장협회장님 완주후...
남자 하프 1위 골인장면..(장성연)
남자 하프 3위 골인후 쿨 다운~~(이정희)
이벤치 커피무러 갈사람...모집^^*
수목원 국화전시회 개장하던날..
화원동산 전망대에서...설화리
낙동강 금호수가 만나는곳...강정보쪽
전망대에서 고령 방향...
신축중인 강정보 박물관...
화원동산..사문진교
화원본리 용문사
벽화마을 거북바위..갓바위
새로생긴 이등산길로 산능선 넘어서면 월광공원..(달비골)
해질무렵 가을걷이가 끝난 설화리 들판에서...
오러망지에서 설화리...
설화리
강건너 고령 무계..
기내미재 전망대
함박산 정상.1980년대 토중석 산지로서 수많은 수석인들이 탐석.예쁜돌들은 다빠져나가고 못난돌들이 탑으로남아 고향산 지키고있네요. 함박산 `크고 밝게 빛나는 산`이라는의미.족장들이 살고 있던 마을의 뒷산을 가르켜 함박산(咸朴山) 그뜻대로 해석하면 후박나무가 많은산..
함박바위...
닭지만당에서..화원유원지방향
반송 설티 방향..
설화리 함박산 방향..
기내미못도 보이고 멀리 사문진교 강정보까지...
성서공단방향..
화원주변에서 멀리 항상 바라보이던 이 장중한 삼형제바위..렌즈에 다 담을수가 없네요
뒤에서본 삼형제바위..
닭지만당 유래-1.대홍수시대 세상이 다 물에 잠겼을때 이봉우리는 닭한마리 앉을만큼 남아 있었다고..2.지형이 닭벼슬을 닮아 닭지...
비슬산 대견봉 전경..
대방산.기세못(옥연지)..낙동강..강정보
저멀리 희미하게 보이는 가야산..갈실못(노홍지)..금계산
달성보..낙동강 고령다리
유가사 방향..
기상관측소 조화봉..관기봉.옥녀봉 방향..
정상 헬기장 갈대숲
청도방향..
비슬산 정상부근 갈대밭..
반송 김흥 구실골..저 쌍봉 바위보러 갔다가 가다보니깐 비슬산 정상까지...!!!
반송 김흥 구실골 삼나무군락지 비슬산 등산로 입구..(여기서 비슬산정상소요시간 편도1시간~)
비슬산은 대구광역시 달성군과 경상북도 청도군의 경계에 있는 산으로 산 정상의 바위모양이 신선이 거문고를 타는 모습을 닮았다 하여 ‘비슬’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남쪽으로 조화봉(照華峰:1,058m)·관기봉(觀機峰:990m)과 이어지며, 유가사(瑜伽寺) 쪽에서 올려다 보면 정상을 떠받치고 있는 거대한 바위 능선이 우뚝 솟아 있다.
비슬산의 유래를 살펴보면,『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비슬산을 일명 포산(苞山)이라 한다고 기록되어 있고 『달성군지』에서는 비슬이란 말은 범어의 발음을 그대로 음으로 표기한 것이고 비슬의 한자의 뜻이 포(苞)라고 해서 일명 포산(苞山)이라고도 하는데 포산이란 수목에 덮여 있는 산이란 뜻을 가진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달성군에서 편찬한 『내고장 전통 가꾸기』(1981년 간행)에 보면 비슬산은 소슬산(所瑟山)이라고도 하는데 이것은 인도의 범어로 부를 때 일컫는 말이며 중국말로는 포산(苞山)이란 뜻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신라시대에 인도의 스님이 우리나라에 놀러 왔다가 이 산을 구경하던 중 비슬(琵瑟)이라고 이름지었는데 그네들의 인도식 발음을 그대로 적었기 때문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한편으로 비슬산은 천지가 개벽할 때에 세상이 온통 물바다가 되었는데 비슬산은 높아서 천지가 물이 다 차고도 남은 곳이 있었는데 그 때 남은 바위에 배를 매었다는 배바위 전설이 전해오고 있다. 그리고 그 바위의 형상이 마치 비둘기처럼 생겨서 비들산이라고 부르게 되었다가여기에서 비슬산이란 명칭이 생겨났다고 하는 주장이다.
『유가사창설내력』이란 책에서는 신라 흥덕왕 원년인 병오년 5월 상한에 도성국사(道成國師)의 문인(門人)인 도의(道義)가 쓴 『유가사사적(瑜伽寺寺蹟)』이란 책에서 산의 모습이 거문고와 같아서 비슬산(琵瑟山)이라고 하였다는 기록이 있고, 일설에 비슬산은 산꼭대기에 있는 바위의 모습이 마치 신선이 거문고를 타는 모습과 같다고 하여 비슬산이라 했다고도 한다.